조선 시대 후기 정조 때의 실학자인 연암 박지원의 청나라 기행 문집인
열하일기에 수록된 글.
박지원은
1780년(정조 4)에 청나라 고종의 칠순 잔치를 축하하기 위하여 그의 사촌형인 박명원과 함께 청나라에 가게 되었는데, 가는 도중에 여러 사람들을 만나 교제하고 그 곳의 문물을 보고 듣게 되었다. 그 후 그는 청나라에서 돌아와 그 동안 보고 들은 것을 여러 분야로 나누어 항목별로 기술한 《열하일기》를 발표하였다. 박지원의 《열하일기》는 단순히 청나라에서 보고 들은 풍물이나 경치를 서술해 놓은 것이 아니라, 중국의 신문물이나 실학 사상 등을 이용 후생 면에서 접근하여 기술해 놓았으므로, 당시의 보수파로부터는 많은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 이 책은 당시의 판본이 없고 여러 종류의 전사본(베껴서 옮겨쓴 것)만 전해 오기 때문에 기술된 항목의 순서가 책마다 다르다.
충남 대학교의 도서관 에 소장되어 있는 연암 수택본의 경우는 전체가 26권으로 되어 있는데, 《도강록》은 그 가운데 제1권에 《열하일기 서》와 함께 수록되어 있다.
《도강록》의 내용을 보면, 1780년 6월 24일에서 7월 9일까지 15일간 압록강에서 요양까지 가는 도중에 보고 들은 것을 기술하였는데, 청나라 사람들이 얼마나 이용 후생적인 건설을 하고 있는지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그 밖에 제2권은 《성경잡지》, 제3권은 《일신수필》, 제4권은 《관내정사》, 제5권은 《막북행정론》, 제6권은 《태학유관록》, 제7권은 《구외이문》, 제8권은 《환연도중록》, 제9권은 《금료소초》인데, 여기에 우리에게 잘 알려진 연암 소설인 《허생전》이 수록되어 있다. 또 제10권은 《옥갑야화》, 제11권은 《황도기략》, 제12권은 《알성퇴술》, 제13권에는 《앙엽기》, 제14권은 《경개록》, 제15권은 《황교문답》, 제16권은 《행재잡록》, 제17권은 《반선시말》, 제18권은 《회본명목》, 제19권은 《찰습륜포》, 제20권은 《망양록》, 제21권은 《심세편》, 제22권은 《곡정필담》, 제23권은 《동란섭필》, 제24권은 《산장잡기》, 제25권은 《환히기》, 제26권은 《피서록》으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