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우리 나라 전통 음악인 국악곡인 <영산회상>의 변형곡.
|
|
|
지식 : 작품 > 음악.무용
우리 나라 전통 음악인 국악곡인 《영산회상》의 변형곡. 《정상지곡》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연주 방식으로는 《영산회상》을 처음 상영산에서 시작하여 마지막 군악까지 순서대로 연주하는 형식에서 벗어나 도드리나 우조가락도드리·양청도드리·계면가락도드리 등을 삽입시킨다. 삽입시키는 곡에 따라 첫째, 《영산회상》 상영산에서 시작하여 중영산·세영산·가락덜이·삼현도드리까지 연주한 뒤 삼현도드리 4장 끝장단에서 도드리로 넘어가 1장부터 7장까지를 연주하고 다시 삼현도드리 4장으로 넘어간 다음 하현도드리·염불도드리· 타령·군악까지를 마치고, 이어 계면가락도드리·양청도드리·우조가락도드리까지 연주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 첫째 방법에서 계면가락 도드리·양청 도드리·우조가락 도드리를 빼고 군악에서 마치는 방법이다. 세 번째, 처음을 도드리부터 시작하여 그 7장 끝에서 《영산회상》 다섯째 곡인 삼현 도드리 4장으로 넘어간 다음 군악까지를 마치고, 이어 계면가락도드리·양청도드리·우조가락도드리까지 연주하는 방법이다. 네 번째는 세 번째의 순서에서 뒤의 계면가락도드리 이하 3곡을 빼고 연주하는 방법이다. 별곡 의 악기 편성은 거문고· 가야금· 해금· 세피리· 대금 · 장구 등 6가지를 기본으로 양금· 단소를 곁들이기도 한다. 이 같은 악기 편성은 《영산회상》의 연주 때와 같다. [ 영산회상] 12개의 곡으로 구성된 모음곡으로 기악곡이다. 《대학후보》 6권에 따르면 《영산회상》은 ' 영산회상 불보살'이란 7자의 가사로 된 짧은 노래였다. 후에 원곡에 중영산·세영산·가락덜이가 더해지고 삼현도드리와 하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 계면가락도드리·양청·우조가락도드리가 각각 순차적으로 덧붙여져 모두 12곡으로 된 모음곡이 되었다. 악기 편성, 조의 구성, 악곡 구성에 따라 《현악영산회상》 《관악영산회상》 《평조회상》 등으로 나누어진다. 《현악영산회상》은 현악기를 중심으로 편성된 《영산회상》으로 중광지곡, 거문고회상, 줄풍류라고도 한다. 상영산·중영산·세영산·가락덜이·삼현도드리·하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군악으로 악곡이 구성되어 있고, 음계 는 우조계면조에 속한다. 거문고· 가야금· 양금· 해금 · 세피리· 대금· 단소· 장구로 악기가 편성되었다. 관악기를 중심으로 편성된 《관악영산회상》은 표정만방지곡· 대풍류라고도 한다. 악곡 구성은 《현악영산회상》과 같고, 악기 편성은 세피리 대신 음량이 큰 향피리와 대금· 해금 · 장고· 좌고로 구성되어 있다. 《평조회상》은 우조계면조인 《현악영산회상》을 4도 낮게 조옮김하여 평조계면조로 만든 것으로 유초신지곡, 취태평지곡이라고도 한다.
|
[광고] |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
|
|
▣ 동음이어
|
|
|
|
고려 중기 이후에 형성된 시의 한 형태로보통 한글로 기록된 고려의 속요.
|
▣ 카달로그 작업
|
▶ 지식지도 |
▷ 원문/전문 (없음) |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 관련 동영상 |
|
▣ 참조정보
없 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