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5년 상대등에 오른 비담은 647년 선덕여왕이 정치를 잘못한다는 것을 구실로 스스로 왕위에 오르려고
염종 등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 신라 최고의 관직인 상대등이 일으킨 반란이므로 그 규모가 매우 컸으며, 사태도 매우 심각하였다.
선덕여왕이 반란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죽고
진덕여왕이 즉위하는 등 왕실이 위기에 처하였다. 그러나
김춘추·
김유신 등이 반란을 진압하고 비담 등 주모자의 구족(九族)을 멸하였다.
이 반란은 단순한 왕위 쟁탈전이 아니라 신라 정치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신라는 법흥왕에서 진덕여왕에 이르는 중고기에 들어서면서 국가 체제를 정비하고, 불교를 정치 사회 이념으로 받아들이면서 왕권을 중심으로 한 중앙 집권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였다. 특히, 선덕여왕 이후로는 귀족에 의하여 폐위된 진지왕의 손자인
김춘추와, 가야가 멸망된 후 신라의 새로운 김씨로 포섭된 가야 왕실의 후손인
김유신이 손을 잡고 이 정책을 더욱 강하게 추진시켰다. 이에 불안을 느낀 귀족은 불만을 터뜨리게 되었다. 이것이 대대적으로 표출된 것이 바로 귀족의 대표인 상대등이 중심이 된 비담의 난이었다.
그러나 결국 승리는 김춘추와 김유신에게 돌아가고, 왕권과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시키는 여러 시책들이 실시되었다. 그러다가 결국 김춘추가 태종 무열왕으로 즉위함으로써 귀족 연합 체제를 이루던 상대(上代)가 막을 내리고, 중대(中代)가 시작되면서 왕권 중심의 중앙 집권 체제가 완성되었다.
이 난은 신라 상대 말기에 왕권을 견제하려던 귀족 세력과 왕권을 강화시켜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하려던 왕실 세력간의 다툼이었다. 마침내 김춘추· 김유신 등의 왕실 세력이 승리함으로써 장차 신라 중대 왕실이 성립되는 계기가 되었다.
《삼국사기》'김유신전'에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