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
|
자연계 : 자연 > 동물
동물계의 한 문을 이루는 동물군. 좁은 의미에서 강장동물의 또 다른 이름이다. 처음에 강장동물 을 무자포류(無刺胞類)와 자포류의 2 아문으로 분류하였을 때 자포류를 말한다. 무자포류를 분리하여 유즐동물문으로 따로 독립시켜 자포류만으로 다시 강장동물문이 되면서 자포류라 하던 것을 자포동물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자포동물문에 속하는 동물은 해파리강·산호충강으로 나누어지며 현재 약 9,000종이 밝혀졌다. 자포동물은 자포라는 세포 내 주머니를 가지고 있으며, 기관이 없는 방사 대칭 후생 동물이다. 안쪽은 세포성 내배엽을, 바깥쪽에는 세포성 외배엽을 가지며, 이들은 비세포성 중교층에 의해 나누어진다. 폴립형과 해파리형이 있으며, 한 생활사에 이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존재한다. 대부분의 폴립은 입 둘레에 촉수를 가지고 있고 메두사는 종부위에 촉수를 가진다. 주로 바다에 살며 일부는 호수에 산다. 우리 나라에는 약 230여 종이 알려져 있으며, 동해· 남해· 서해· 제주도 해역 모두에 분포한다. 특히 제주도 해역에는 우리 나라에 있는 자포동물의 약 70%가 분포한다 [일반적인 특징] ①크기와 구조: 머리는 없고 방사 대칭형이며 체벽은 두 세포층으로 되어 있다. 주머니 모양의 강장이 있고 하나의 입이 뚜렷한 조직으로 되어 있으나 기관은 형성되지 않았다. 폴립형과 해파리형(메두사)이 있다. 해파리형은 종이나 우산 모양으로 우산의 가장자리에 촉수가 있으며, 종의 중앙에 구병이 있고 구병의 아래쪽 끝에 입이 있다. 구병은 입과 강장을 연결한다. 폴립형은 입과 촉수가 위쪽에 있으며, 원통형의 몸통 아래쪽으로 단단한 저질에 부착한다. 많은 자포동물의 폴립은 큰 군체를 이룬다. ②분포와 이용 가치 :산호충류는 전세계 바다의 저서 생태계에서 우세한 동물 로 연산호와 돌산호는 열대 바다에서 산호초 형성에 주된 역할을 한다. 온대 바다 조간대의 바위는 말미잘로 덮여 있다. 아시아에서는 진정한 해파리의 근육을 식용으로 사용하고, 아시아와 북아메리카의 일부에서는 말미잘을 먹기도 한다. 산호충류는 장신구에 쓰이는 보석이나 건축 재료인 블록 · 시멘트를 만드는 석회에 이용된다. 히드라충강은 군소, 어류 등의 먹이가 되기도 하고 장신구에 이용되기도 한다. 자포동물의 대부분은 사람에게 해를 주지 않지만, 애기백관해파리류나 말미잘에 속하는 악티노덴트론속이 갖고 있는 자포의 독은 예민한 사람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 자포동물의 추출 물질은 심장 자극제· 항암제·항염제 등에 효과가 있다. [자연사] ① 생활사와 생식:모든 자포동물은 유성 생식과 무성 생식 을 할 수 있다. 무성 생식을 할 때에는 출아와 종횡 분열 에 의해 군체를 형성하며, 군체는 포복형·관목형·깃털형이 있다. 한 군체의 각 개충은 특정한 기능을 가지며, 형태도 다양하여 먹이를 섭취하고 촉수를 가지는 영양 개충, 방어 를 담당하는 촉수가 없는 지상 개충, 생식을 담당하는 생식 개충이 있다. 산호충류는 생활사에서 메두사 단계가 없으며, 폴립은 무성 생식과 유성 생식으로 새 폴립을 만든다. 히드라해파리는 폴립에서 무성적으로 만들어진다. 생식 세포는 생식선에서 분화되는데, 산호충류와 해파리의 생식 세포는 내배엽에서 발달하고 히드라충강 무리의 생식 세포 는 외배엽에서 발달한다. 보통은 자웅 동체이지만 자웅 이체도 있으며, 생식 세포는 바다에서 수정되어 난할을 하고 섬모가 나 있는 플라눌라가 된다. 이 플라눌라는 바닥을 기어다니다가 단단한 저질에 붙어 폴립으로 된다. ②생태와 섭식:대부분의 폴립은 단단한 저질에 붙으며, 얕은 바다 에 산다. 메두사는 적당히 깊이가 있는 곳에 해류에 의해 수동적으로 운반되어 이동하며 산다. 말미잘은 깊은 바다 에 살며 족반을 이용하여 천천히 기어다닐 수 있다. 산호 는 무성 생식으로 다른 생물을 뒤덮을 수 있을 만큼 무성하게 자란다. 자포동물은 바닷말류· 어류· 갑각류와 다양한 공생 관계를 맺는데, 갈충말과 녹색 기생 조류와는 상호 이익을 주는 공생 관계를 맺고 있다. 복족류의 패각 위에 사는 말미잘은 복족류를 따라 이동하며, 패각 속에 집게 의 먹이를 훔쳐 먹기도 한다. 대신 포획자로부터 집게를 보호해 준다. 말미잘의 촉수에 사는 열대산 어류는 포획자로부터 보호받는 대신 말미잘을 뜯어 먹는 고기를 쫓아 준다. 자포동물은 육식성으로 고착성 폴립은 촉수가 먹이에 닿으면 자포를 이용하여 먹이를 마비시키고, 히드라해파리는 활짝 편 촉수로 먹이를 잡는다. 해파리류는 구엽을 이용해 먹이를 모은다. 자포동물이 분홍색·오렌지색·빨간색·갈색 등의 색깔을 띠는 것은 그들이 먹는 갑각류의 카로티노이드 때문이다. 육식성의 자포동물은 바닷말 종류를 먹지는 않지만, 그들로부터 포도당과 산소 등 다양한 영양을 얻고 있다. [기능과 형태] ①조직, 근육과 골격: 자포동물의 체벽은 두 세포층으로 되어 있으며, 그 사이는 젤리와 같은 비세포층인 중교층이 있다. 메두사의 중교층은 두껍고 탄력 있으며 골격의 일을 한다. 폴립의 외배엽성 근육은 원통형의 몸과 촉수의 속에 있고 내배엽성 근육은 보통 환상이다. 환상근이 수축되면 폴립의 몸통이 길어지고 종주근이 수축하면 짧아진다. 메두사의 근육은 모두 외배엽성이며, 환상근과 방사근으로 되어 있고 근육의 수축 운동으로 운동한다. 자포동물의 폴립은 내골격 과 외골격을 가지는데, 히드라충류의 폴립은 키틴질 또는 각질의 외골격을 분비한다. 해양류의 골격은 각질 단백질 인 고르고닌으로 되어 있고 골축을 형성하기 위해 골편 들이 융합되어 있다. 말미잘은 골격을 만들지 않는다. ② 소화와 배설:먹이를 섭취하고 배설물을 방출하는 것은 입을 통해 이루어진다. 강장에서 소화가 이루어지고 나서 내배엽 세포에서 세포 내 소화가 이루어진다. 호흡과 배설은 세포에서 일어난다. 이처럼 모든 생리 기능이 조직 수준 이하에서 이루어진다. ③ 방어와 공격: 자포는 구형 또는 달걀 모양으로 자사가 들어 있으며, 먹이 또는 포획자와 접촉하면 독이 든 자사가 발사되어 먹이 또는 포획자에게 주입된다. [ 분류] 자포동물은 약 9,000여 종이 알려져 있는데, 몇 개의 강과 아강 그 아래 속한 여러 목들로 분류된다. 크게는 산호충강·히드라강·해파리강으로 나눌 수 있다. 산호충강은 이축 방사 대칭형으로 입은 구반의 중앙에 있으며, 중공 촉수를 가진다. 입은 구도를 거쳐 강장과 통해 있고 구도에는 관구가 있다. 강장은 방사 격막으로 나누어진다. 약 6,000여 종이 알려져 있고, 바다맨드라미강·꽃말미잘아강·육방산호아강 등의 아강이 있다. 다시 바다맨드라미아강은 근생목·해양목·소지목·바다조름목 등이 이에 속한다. 꽃말미잘아강에는 뿔산호목·꽃말미잘목이 속한다. 육방산호아강은 해변말미잘목·산호붙이말미잘목·해변붙이말미잘목·돌산호목·말미잘목이 속한다. 히드라충강은 한 생활사가 메두사와 폴립으로 되어 있으나, 한쪽이 없는 경우도 있다. 히드라 해파리는 작고 방사 대칭으로 군체는 다형 형상이고, 강장은 격막에 의해 나누어지지 않는다. 생식 세포는 외배엽성이고 담수산도 있다. 약 2,700여 종이 알려져 있다. 악티눌라목·연골히드라충목·히드라충목·히드라산호목·관해파리목·의산호목·경해파리목이 속한다. 해파리강은 무연막 해파리로 바다에 산다. 작은 폴립인 사이피스토마와 메두사 단계가 교대로 나타난다. 사축 방사 대칭으로 강장은 4개의 격막으로 나누어진다. 생식선은 내배엽성이고 평형포 또는 홑눈을 가진다. 연안에 많으며 약 200여 종이 알려져 있다. 관해파리목·근구해파리목·기구해파리목·십자해파리목이 속해 있다.
|
[광고] |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
▣ 카달로그 작업
|
▶ 지식지도 |
▷ 원문/전문 (없음) |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 관련 동영상 (없음) |
|
▣ 참조정보
없 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