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1367 ~ 1422] 조선 제3대 왕(재위 1400~1418년). 태조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로 이름은 방원(芳遠)이다.
|
|
▣ 참조 유튜브 (최근등록순)
- 하위디렉터리 포함
|
|
역사 > 한국역사
|
2019.12.02
|
|
|
KBS역사저널 그날
|
58:44 |
새왕조 건립에 뜻을 같이했던 이방원과 정도전. 그러나 제1차 왕자의 난으로.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6.17
|
|
|
KBS역사저널 그날
|
4:58 |
조선을 세운 태조 이성계의 무덤인 건원릉은 규모와 격식을 제대로 갖춘 왕릉으로 무인석과 문인석, 무덤을 지키는 수호 동물도 생동감 있게 만들어져 있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6.10
|
|
|
KBS역사저널 그날
|
4:35 |
조선은 적자가 아닌 서얼은 양반인 아버지의 성을 물려받았지만 차별을 받았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5.12
|
|
|
KBS역사저널 그날
|
2:27 |
실록은 사관이 작성한 사초를 토대로 제작됐으며, 왕도 실록을 볼 수 없었다. 실록 편찬의 기틀이 잡힌 것은 태종 때였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5.08
|
|
|
KBS역사저널 그날
|
4:32 |
무과는 국가 병력의 기반이 되는 장수를 뽑는 시험이다. 태종이 무과를 처음 실시한 이유는 사병제도를 혁파하고 관제, 군제 개혁을 위함이었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5.07
|
|
|
KBS역사저널 그날
|
4:53 |
정종의 양위로 조선 3대 왕에 오른 태종 이방원. 태종은 즉위 후에 호패법, 양전사업, 사병혁파, 신문고 설치, 사간원 설치 등 왕권강화 정책들을 실시했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5.07
|
|
|
KBS역사저널 그날
|
4:09 |
1398년 8월 26일 태조 7년, 정도전의 제거와 함께 시작된 이방원의 난(무인정사).
|
|
|
역사 > 한국역사
|
2019.03.14
|
|
|
KBS역사저널 그날
|
2:45 |
512년 신라 이사부 장군이 울릉도에 있는 우산국을 점령한 이후 울릉도와 독도는 우리 영토의 일부로 각종 사료에 기록돼 왔다.
|
|
|
역사 > 한국역사
|
2016.01.31
|
|
|
문화유산채널[K-HERITAGE.TV]
|
3:40 |
정도전을 중심으로 한 신진 사대부의 지지로 왕위에 오른 이성계!
|
|
|
|
[광고] |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
▣ 카달로그 작업
▣ 참조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