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7월 31일 (목)
(음 윤6월 7일, 辛丑)
집계기준 : 2025년 6월 30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1770년대
•
이상(李箱)
•
1519년
•
조신 설화(調信說話)
•
당 중종(唐 中宗)
•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
•
여수 진남관
•
한시(漢詩)
•
난중일기(亂中日記)
•
동작구(銅雀區)
•
사기(史記)
•
최항(崔恒)
•
황석우(黃錫禹)
•
청구영언(靑丘永言)
•
허베이성([河北]省)
•
두시 언해(杜詩諺解)
•
현완법(懸腕法)
•
국민 교육 헌장
•
단일 번식 가축
•
삼전도비(三田渡碑)
▣
한시 (漢詩)
바로가기
한문으로 된 시. 오랜 세월에 걸쳐 중국에서 발달해 온 정형시이다. 한 구가 4, 5 내지 7언이 보통으로 평측·운각 등의 율격이 있고, 고시·악부· 절구·율·배율등이 있다.
지식
:
어학 > 문학
한문으로 된 시. 오랜 세월에 걸쳐 중국에서 발달해 온 정형시이다. 한 구가 4, 5 내지 7언이 보통으로 평측·운각 등의 율격이 있고, 고시·악부· 절구·율·배율등이 있다.
가장 오래된 시집인 《
시경
》의 4언시나 한대의 5언시와 7언시인 고체시에 이어 당대에 이루어진 시의 형식이 근체시이다.
이 가운데 근체시가 우리 나라의 한시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었다.
종류
고체시
악부(樂府)
: 잡언(雜言) / 칠언(七言)
고시(古詩)
:
사언고시
/
오언고시
/
칠언고시
근체시
절구
:
오언절구(五言絶句)
/
육언절구(六言絶句)
/
칠언절구(七言絶句)
율시
:
오언율시(五言律詩)
/
칠언율시(七言律詩)
배율
-
오언배율
/
칠언배율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한시
(漢詩)
근체시
(近體詩)
오언 고시
오언 율시
오언 절구
율시
(律詩)
절구
(絶句)
칠언 고시
칠언 율시
고시
(古詩)
악부
(樂府)
배율
(排律)
오언배율
칠언배율
삼경
(三經)
오경
(五經)
오언시
(五言詩)
-551
공자
(孔子)
김극기
(金克己)
1168
이규보
(李奎報)
1254
홍간
(洪侃)
1287
이제현
(李齊賢)
1349
이숭인
(李崇仁)
1571
이안눌
(李安訥)
1576
임숙영
(任叔英)
1628
남용익
(南龍翼)
1754
김득신
(金得臣)
1762
정약용
(丁若鏞)
1855
황현
(黃玹)
712
두보
(杜甫)
시경
(詩經)
대동속악부
사서 삼경
(四書三經)
죽지사
(竹枝詞)
해가사
(海歌辭)
유교 경전
1808
시경강의
(詩經講義)
1868
영남 악부
(미정의)
사언고시
(미정의)
육언절구
(미정의)
칠언절구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총 316 작품) [
모두보기
]
두시언해 (초간본)
杜詩諺解
어문/학습/예술
(945)
귀거래사
歸去來辭
시
도연명(陶淵明)
(830)
월하독작
月下獨酌
시
李白(이백)
(744)
중간 두시언해
重刊杜詩諺解
어문/학습/예술
(459)
송인
送人
한시
정지상
(451)
장한가
長恨歌
시
백거이(白居易)
(335)
동명왕편
東明王篇
한시
이규보
(311)
추야우중
秋夜雨中
한시
최치원
(242)
춘망사
春望詞
시
설도(薛濤)
(201)
제가야산독서당
題伽倻山讀書堂
한시
최치원(崔致遠)
(186)
장진주
將進酒
시
이백
(171)
타맥행
打麥行
한시
정약용(丁若鏞)
(133)
◈ 최근등록순
가담항설의지식창고
>
좋은 정보 수집
2025.07.04
◈
한시(漢詩)의 이해
【문화】
한시(漢詩)의 이해 : 초보자는 반드시 읽어 볼 것! - 漢詩는 시대의 변천과 함께 그 형식을 갖추어 오다가 당나라 때에 이르러 엄격한 규칙을 수반하는 전형(典型)이 확립되었다. 이 엄격한 규칙을 수반하는 당나라 이후의 한시를 근체시(近體詩)라 하고, 그 이전의 시를 고체시(古體詩)라고 한다.
0
|
한시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