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7월 31일 (목)
(음 윤6월 7일, 辛丑)
집계기준 : 2025년 6월 30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1770년대
•
당 중종(唐 中宗)
•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
•
난중일기(亂中日記)
•
동작구(銅雀區)
•
사기(史記)
•
1519년
•
청구영언(靑丘永言)
•
한자교육(漢字敎育)
•
메밀꽃 필 무렵
•
이용악(李庸岳)
•
황석우(黃錫禹)
•
여수시(麗水市)
•
조신 설화(調信說話)
•
최항(崔恒)
•
정수정전(鄭秀貞傳)
•
광대가(廣大歌)
•
허베이성([河北]省)
•
단일 번식 가축
▣
이진유 (李眞儒)
바로가기
[1669 ~ 1730] 조선 후기 때의 문신. 신임사화(辛壬士禍) 때 노론(老論)을 숙청한 김일경(金一鏡) 일파로 극변(極邊)에 안치(安置)되었다가 중앙으로 압송되어 문초를 받던 중 옥사했다. 글씨에 뛰어났으며, 가사 속사미인곡(續思美人曲)을 지었다.
인물
:
[1669 ~ 1730] 조선 후기 때의 문신. 자는 사진(士珍)이고 호는 북곡(北谷)이다.
신임사화(辛壬士禍)
때 노론(老論)을 숙청한
김일경(金一鏡)
일파로 추자도로 유배되었다가 서울로 압송되어 문초를 받던 중 옥사했다.
글씨에 뛰어났으며, 가사 《
속사미인곡(續思美人曲)
》을 지었다.
[숨기기]
이진유
(李眞儒)
[1669 ~ 1730] 조선 후기 때의 문신.
신임사화(辛壬士禍)
때 노론(老論)을 숙청한
김일경(金一鏡)
일파
추자도로 유배되었다가 서울로 압송되어 문초를 받던 중 옥사했다.
글씨에 뛰어났으며,
가사 《
속사미인곡(續思美人曲)
》을 지었다.
◈ 지식지도
관계
이진유
(李眞儒)
1669
소론
(少論)
1575
서인
(西人)
1591
남인
(南人)
가사
(歌辭)
노론
(老論)
붕당 정치
사색 당파
(四色黨派)
유배 가사
(流配歌辭)
사화
(士禍)
나주시
(羅州市)
1721년
1722년
1724년
1727년
1674
김일경
(金一鏡)
1607
송시열
(宋時烈)
1629
윤증
(尹拯)
1639
조지겸
(趙持謙)
1648
김창집
(金昌集)
1658
이이명
(李頤命)
1659
유봉휘
(柳鳳輝)
1660
조태구
(趙泰耉)
1660
조태채
(趙泰采)
1663
이건명
(李健命)
노론 4대신
1684
목호룡
(睦虎龍)
1705
이광사
(李匡師)
1724
영조
(英祖)
1727
속사미인곡
1721
신임사화
(辛壬士禍)
1680
경신환국
(庚申換局)
1725
을사환국
1727
정미환국
(丁未換局)
1728
이인좌의 난
(李麟佐亂)
•
이광명(李匡明)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속사미인곡
續思美人曲
가사
이진유
(22)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