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참여마당 > 최근추가된지식지도
◊ 우선 작업 목록 (최근 추가된 지식지도) ◊
최근 등재 지식지도 중 미정의된 키워드 존재하는 목록
• 2025년 7월 30일
1 【지식】 똥 (-)
사람이나 동물이 먹은 음식물을 삭이고 항문으로 내보내는 찌끼. 음식물의 비소화분(非消化分)과 소화관에서의 분비물이나 박리된 점막을 포함하는데, 사람의 경우 대변이라고 한다.
스카톨
인돌
2 【시대】 1790년대
프랑스 혁명에 이은 공포정치와 나폴레옹의 등장.
동양
세계
3 【시대】 1780년대
프랑스 혁명
동양
세계
4 【시대】 1770년
조선 영조 46년
동양
세계
5 【시대】 1770년대
미국이 영국으로 부터 독립(13개 주)
동양
세계
6 【시대】 1510년
조선 중종 5년 삼포왜란
동양
세계
7 【시대】 1519년
조선 중종 14년 을유사화로 조광조 처형됨 마젤란 일행, 세계일주 시작(1519-1522)
동양
세계
에크
8 【지식】 타래과 (----菓)
우리 나라 고유의 과자인 유밀과의 한 가지.
후식
9 【지식】 유밀과 (油蜜果)
우리 나라의 고유한 과자. 유과(油果)라고도 한다.
매잡과
후식
10 【시대】 1624년
조선 인조 2년. 이괄의 난
강홍중
11 【인물】 정립 (鄭岦)
[1574 ~ 1629] 조선 후기에, 충청도관찰사, 도승지, 공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정경순
정항
12 【기관/단체】 갑자사행 (甲子使行)
1624년부터 1625년에 걸쳐, 도쿠가와 이에미쓰(德川家光)의 습직 축하 및 제3차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 파견이 이루어진 사행. 갑자신사(甲子信使), 갑자통신사(甲子通信使).
강홍중
동사록
정립
13 【인물】 신계영 (辛啓榮)
[1577 ~ 1669] 조선시대 병조좌랑, 예조좌랑, 동부승지 등을 역임한 문신.
신종원
정립
14 【지식】 흉배 (胸背)
조선 시대에 왕·왕세자 및 문무관의 관복 의 가슴과 등에 붙이던 학이나 범 모양의 표장(標章). 왕·왕세자의 곤룡포에는 용무늬를 수놓아 붙였고, 문관은 학을, 무관 은 범을 각각 계급에 따라 다르게 붙였다.
표장
• 2025년 7월 29일
15 【시대】 1517년
조선 중종 12년 독일, 종교개혁과 농민전쟁
동양
세계
16 【시대】 1516년
조선 중종 11년
동양
세계
17 【시대】 1515년
조선 중종 10년
동양
세계
• 2025년 7월 28일
18 【시대】 1513년
조선 중종 8년
데레온
동양
세계
19 【시대】 1512년
조선 중종 7년
동양
세계
20 【시대】 1511년
조선 중종 6년
동양
세계
• 2025년 7월 27일
고려 말엽 공민왕의 왕사를 지낸 나옹 화상 혜근(惠勤 1320~1376)이 지은 법어집. 1권 1책으로 되어 있으며, 여러 권의 판본이 전한다.
각련
각뢰
22 【작품】 나옹집 (懶翁集)
[1권 1책, 활자본] 고려 말기 나옹 혜근의 문집. 신활자본이고 1권 1책이다.
각련
이종욱
23 【작품】 춘앵전 (春鶯囀)
조선 순조 때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로 돗자리 위에서 혼자 추는 춤.
김보남
김천흥
이흥구
황옥선
24 【인물】 김수정 (金水晶)
[1913 ~ 1969] 일제강점기 하규일의 제자로 여창가곡의 명창.
김일순
안비취
25 【인물】 김영한 (金英韓)
[1916 ~ 1999] 시인 백석의 연인으로 유명한 기생. 요정 대원각을 운영하여 큰돈을 모았다. 후에 법정 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불교에 감화되어 대원각을 대한불교조계종에 시주하여 화제가 되었다. 이 대원각은 길상사라는 절로 바뀌었다.
춘앵무
26 【지식】 사분율 (四分律)
출가한 승려가 불법을 닦는 데 있어서 필요한 계율을 기록한 불교의 율전으로, 4대 계율서 가운데 하나. 석가모니가 생사를 초월한 도(道)에 들어간 후 100년 뒤에 담무덕이 5부 율전 가운데 상좌부 계통의 율전을 자기 견해에 맞는 것만 네 번에 걸쳐 뽑아 이어서 엮었다.
명효
범망경
원승
지명
• 2025년 7월 26일
경상 북도 구미시와 금릉군, 칠곡군의 경계에 있는 금오산을 중심으로 한 도립공원.
28 【지식】 공원 (公園)
사람들의 휴식과 보건 등을 위하여 마련한 장소.
29 【지식】 매사냥 ( )
매를 날려 보내어 꿩이나 토끼 따위의 짐승을 잡는 수렵활동.
보라매
송골매
30 【사건】 학림사건 (學林事件)
1981년 군사쿠데타로 실권을 장악한 전두환 등 신군부세력이 학생운동단체 중 반국가단체를 처벌한 사건이다. 당시 전민학련이라는 대학생 단체가 첫 모임을 가진 대학로의 '학림다방'에서 유래한 말로 경찰이 숲처럼 무성한 학생운동 조직을 일망타진했다는 뜻으로 붙인 이름이다.
이태복
황우여
31 【자연/문화유산】 서울 동묘 (----東廟)
서울 특별시 종로구 숭인동에 있는,관우를 모시는 사당 건물. 동관왕묘· 관제묘라고도 한다. 보물 제142호.
진인
• 2025년 7월 25일
전반적으로 잉글랜드뿐만 아니라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를 포함한 지역의 미술을 통틀어이르는 말.
H. 무어
P. 나시
미래파
유닛원
33 【지식】 성기 (性器)
사람 또는 생물에서 자손의 증식을 담당하는 기관. 생식 기관이라고도 한다.
고환
난관
대음순
생식관
생식선
성교
소음순
음경
음낭
정낭
처녀막
모든 핵무기및 모든 전쟁의 근절을 호소하는 과학자에 의해 만들어진 국제회의이다. 버트런드 러셀과 알버트 아인슈타인에 의해 러셀-아인슈타인 선언으로 이에 영향을 받은 11명의 저명한 과학자들에 의해 창설되었다.
35 【시대】 1957년
• 제1공화국 (9년차) / 1957년 10월 4일. 소련이 우주선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
유도회
유지광
36 【작품】 불신시대 (不信時代)
박경리(朴景利)가 지은 단편소설.
37 【지역】 강동군 (江東郡)
평양직할시 북동부에 있는 군이다. 면적은 516km2이고 인구는 2008년 기준으로 221,539명이다.
김성률
김흥석
단군릉
박장손
서광도
신병두
장정원
정홍근
1217년 강원도 철원군 일대를 거란의 유종이 침략한 사건. 몽골군에게 밀려 남하하던 거란유종(契丹遺種)이 강원도 철원군 일대를 침략한 사건이다.
최원세
39 【인물】 조충 (趙冲)
[1171 ~1220] 고려 후기에, 정당문학, 수태위 동중서문하시랑평장사 수국사 등을 역임한 문신.
정숙첨
정통보
조영인
합진
• 2025년 7월 23일
40 【인물】 최항 (崔沆)
[? ~ 1024] 고려 전기에, 정당문학, 내사시랑평장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내융(內融). 평장사(平章事) 최언위(崔彦撝)의 손자이다.
채충순
41 【인물】 최언위 (崔彦撝)
[868 ~ 944] 신라 말에서 고려 초의 문신· 서예가. 본관은 경주이다. 처음의 이름은 신지· 인연이다. 시호는 문영이다. 경주 최씨인 최치원· 최승우와 더불어 '신라 말기의 3최'라고 불린다.
최광윤
42 【인물】 최승우 (崔承祐)
[? ~ ?] 통일 신라 말기의 문인. 본관은 경주이다. 경주 최씨로서 최치원(857~?), 최언위(868~944)와 더불어 '신라 말기의 3최'라고 불렸다.
43 【지식】 최 (崔)
성(姓)의 하나. 우리 나라의 성씨 가운데 비교적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본관은 약 300여 개가 된다고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
44 【지식】 승가 (僧迦)
불교의 교단. 좁은 뜻으로는 스님 또는 승려를 일컫는다. 범어인 상가(samgha)를 음역하여 승가라고 부른다.
녹야원
45 【작품】 원유가 (願遊歌)
추담 남석하(南碩夏)의 가사로서 총 156구로 된 3단 구성의 노래이다. 인생이란 항상 젊은 소년이 아니므로 허송세월하지 말고 놀아보자는 말로써 시작하여, 웬만큼 벼슬한 뒤 욕심내지 않고 자연과 더불어 질병 없이 평생 즐거움을 누리겠다는 소망적 주제를 내용으로 하였다.
가사
46 【인물】 석가노 (釋迦奴)
[? ~ 1422?] 명대(明代) 건주여진(建州女眞)의 수장이자 건주위(建州衛) 지휘사(指揮使)였다. 구룬씨(古倫氏)였으며 한족식 명칭은 이현충(李顯忠)이다. 훌리가이부(胡里改部) 추장 아하추(阿哈出)의 장남이다.
달단
47 【지식】 위소 (衛所)
명나라에서 국경이나 내륙의 전략적 요충지에 설치한 지방 군사 기구.
동녕위
해주위
48 【지식】 삼만위 (三萬衛)
명나라가 동북 지역에 설치한 위소 중 하나. 1387년(홍무 20)에 명의 홍무제(洪武帝)가 두만강 유역에 설치한 위소(衛所)였다.
요동위
49 【지역】 철령위 (鐵嶺衛)
1387년(우왕 13), 명나라의 요동도지휘사사(遼東都指揮使司)에 소속된 위소(衛所) 가운데 하나로, 명이 고려의 철령 이북 땅에 설치하고자 하였던 직할지.
삼만위
50 【지역】 만주 (滿洲)
중국 동북 지방을 흔히 일컫는 이름. 소련, 한국, 내몽고 자치구에 둘러싸인 지역이다.
51 【지역】 카이위안시 (開原市)
중국 랴오닝성 톄링(鐵嶺) 시의 행정구역이다. 넓이는 2825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590,000명이다.
톄링시
52 【시대】 동요국 (東遼國)
거란족이 지금의 랴오둥반도 일대에 세운 요나라 부흥운동을 목적으로 세워진 나라이다.
53 【지식】 거란장 (契丹場)
거란족의 나라 요(遼)가 망한 후 갈 곳을 잃은 거란 유민들이 고려에 자리잡고 모여 살던 곳. 고려와 거란은 성종 때부터 자주 전쟁을 하였으며 전쟁 포로 가 되거나 항복한 거란족들은 고려에서 살기도 하였다.
합진
54 【시대】 북요 (北遼)
[1122 ~ 1123] 1122년 3월에 건국된 요나라 북부의 잔존국이다. 초대 황제는 야율순이다.
야율순
야율정
55 【인물】 요 목종 (遼 穆宗)
[931 ~ 969]요나라의 제4대 황제(재위 951년 ~ 969년)이다. 시호는 효안경정황제(孝安敬正皇帝)이다. 제2대 황제 요 태종 야율덕광의 장남이다. 즉위 후에 받은 존호는 천순황제(天順皇帝)이다. 이름은 야율경(耶律璟)이다.
아무다리야강(江) 하류 유역, 지금의 히바에 있었던 튀르크계 국가(1077년~1231년)이다. 아라비아인은 후와리즘이라 불렀다.
57 【시대】 서요 (西遼)
요의 왕족인 야율대석(西遼의 德宗)이 요가 멸망한 후 중앙아시아에 세운 나라이다. (1124 ~ 1218)
나이만
58 【작품】 여락탕 (女樂蕩)
조선 시대 숙종에서 영조 때의 문인 옥소권섭이 지은 시조.
옥소고
59 【인물】 소정방 (蘇定方)
[592 ~ 667] 중국 당나라의 무장. 이름은 열(烈)이고, 정방(定方)은 자(字)이다.
한국사
신라 시대에 생겨난 미술 및 미술품.
석가탑
한국사
백제가 세워진 기원전 18세기부터7세기 후반 멸망하기까지 백제의 영토에서 이루어진 미술.
한국사
62 【지식】 가축사 (家畜史)
인간의 경제적인 필요에 따라 자연 속에서자라는 갖가지 야생 동물 가운데 적당한 종을 선택해 인간의 생활에 알맞은 상태로 길들여온 역사를 말한다.
역사
63 【지식】 관모 (冠帽)
머리에 쓰는 쓰개의 종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좁은 뜻으로는 옛날 우리 나라에서 벼슬아치들이 쓴 모자를 말한다.
방립
사모
유건
초립
평량자
64 【인물】 이제 (李濟)
[? ~ 1398] 조선 전기에, 의흥친군위절제사, 우군절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인립
65 【인물】 이발 (李潑)
[1372 ~ 1426] 본관은 성주(星州). 증조부는 문열공(文烈公) 이조년(李兆年)이다.
이인립
66 【인물】 경순공주 (慶順公主)
[? ~ 1407] 조선의 제1대 왕, 태조의 셋째 공주.
1940년대에서 1950년대에 걸쳐 프랑스에서 전개된 문학 경향의 하나로, 실존주의 사상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
• 2025년 7월 22일
68 【사물/장비】 천자총통 (天字銃筒)
조선 전기부터 후기에 이르기까지 사용하던 화기(火器).
69 【인물】 박인수 (朴麟壽)
[1516 ~ 1586]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아들이 임진왜란에서 활약한 병조참판 의열공 박진이다.
박백령
박언
70 【지역】 한개마을 ( )
1450년경 진주목사를 지낸 이우가 정착해 터를 잡은 성산 이씨 집성촌이다. 마을 앞에 큰 나루가 있었다고 해서 한개마을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우
71 【작품】 봉선화 (鳳仙花)
1912년, 이해조(李海朝)가 쓴 신소설.
• 2025년 7월 21일
72 【인물】 콘라트4세 (Conrad IV)
[1228 ~ 1254] 호엔슈타우펜 왕조의 일원으로 신성로마제국의 프리드리히 2세와 욜랑드 드 브리엔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예루살렘의 왕(Conrad II, 1228년 ~ 1254년), 독일 왕(Conrad IV, 1237년∼1254년), 시칠리아 왕(Curradu I, 1250년∼1254년)이었다.
73 【인물】 루돌프 1세 (Rudolf I)
합스부르크의 루돌프 1세(독일어: Rudolf von Habsburg, 1218. 5.1. - 1291. 7. 15.)는 합스부르크 왕가 최초의 독일 왕이다.
6대주의 하나. 오세아니아란 ‘대양(大洋)’을 뜻하는 말로서 ‘대양주’라고도 한다. 그 범위는 태평양의 북부와 동부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태평양 지역을 차지하고 있다.
나우르
단가(短歌)란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소리하는 이의 목을 풀기 위하여 부르는 짧은 노래를 말한다.
불수빈
편시춘
호남가
• 2025년 7월 20일
76 【지식】 등놀이 (燈----)
수영야류(水營野遊) 전날 밤에 하는 길놀이의 하나. 음력 정월 대보름날 제당과 원수정· 최영 장군 묘에 차례대로 제사를 지낸 뒤 본격적인 탈놀이를 하기 위해 탈놀이판으로 가게 되는데 탈놀이판으로 가기 전에 하는 놀이가 바로 등놀이다.
길놀이
• 2025년 7월 18일
77 【인물】 당 대종 (唐 代宗)
[726 ~ 779] 중국 당나라의 제8대 황제(재위 : 762 ~ 779)이다. 당 숙종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추존된 장경황후 오씨이다. 초명은 숙(俶)이다.
78 【인물】 당 태종 (唐太宗)
[598 ~ 649] 중국 당나라의 제2대 황제(재위 626~649년). 이름은 이세민(李世民)이고 묘호는 태종(太宗)이며, 고조 이연의 둘째 아들이다.
79 【지식】 무주의치 (武周之治)
중국 당나라 측천무후의 치세를 이르는 말(690 ~ 705). 측천무후는 적인걸, 장간지 등을 중용하여 정치 개혁을 실시하였고, 과거제의 정비 따위를 통해 귀족 정치에서 벗어나 문인 중심의 관료제로 나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경휘
송경
요숭
장간지
적인걸
환언범
80 【인물】 고적 (高適)
[707 ~ 765] 중국 당나라때 시인. 자 달부(達夫). 허베이성[河北省] 출생. 젊었을 때 생업에 종사하지 않고, 산둥[山東]과 허베이 지방을 방랑하며 이백(李白)·두보(杜甫) 등과 사귀었다.
81 【인물】 필립보 (Philip)
예수 그리스도의 열두 사도 가운데 한 사람이다. 필립보라는 이름은‘말의 친구’라는 뜻이다. 로마 가톨릭교회에서의 축일은 5월 3일이며, 동방 정교회에서의 축일은 11월 14일이다. 성공회에서도 빌립보를 신명으로 사용하여 성인에 대한 존경을 표한다.
요한
82 【인물】 시몬 (Simone)
[? ~ ?] 1세기에 활동한 마술사. 《신약 성서》 '사도행전'에 나온다. 흔히 마술사 시몬이라고 불린다.
요한
83 【작품】 신약성서 (新約聖書)
기독교의 경전으로, 구약전서와 함께 기독교 경전을 구성하는 책이다. 신약성서, 또는 줄여서 신약으로도 칭한다. 전체 27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84 【작품】 여사서 (女四書)
사대부 남성의 필독서인 '사서(四書:논어, 맹자, 대학, 중용)'에 상대되는 말로, 여성이 반드시 읽어야 할 네 권의 책이라는 의미이다.
여계
여논어
청나라 초 왕상(王相)이 간행한 『여사서(女四書)』를, 조선 영조 10년(1734) 12월 영조의 명에 따라 제조 이덕수(李德壽)가 언해하여 영조 13년(1737)에 간행한 책이다.
이덕수
86 【작품】 신원사 (新元史)
중국 역사서중의 하나.
• 2025년 7월 17일
1885~1951 미국의 소설가. 미국이 국제적인 대국으로 부상하는 시대의 미국인의 생활을 풍자적으로 묘사해 S. 앤더슨과 더불어 새로운 리얼리즘을 확립한 작가로 평가되고 있다.
1821년에서 1823년까지의 멕시코를 가리키는 명칭이다. 멕시코 제1제국의 영토는 누에바에스파냐 부왕령의 아메리카 영토 및 과테말라 총독부의 영토를 계승했다.
89 【지역】 로웰 (Lowell)
미국 매사추세츠주(州) 북동쪽에 위치한 공업 도시. 보스턴시의 영향권역에 속한 위성 도시 중의 하나로, 보스턴 중심가에서 북서쪽으로 40㎞ 지점인 메리맥강(江)과 콩코드강의 합류 지점에 자리잡고 있다.
• 2025년 7월 16일
중앙유럽 보헤미아 지역에 있던 나라로, 영토 대부분은 오늘날 체코에 속한다. (1198년 ~ 1918년)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문제로 일어난 국제 전쟁.
1789년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 당시 프랑스 왕국과 부르봉 왕가를 지지하는 세력들로, 1815년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후 부르봉 왕정복고로 다시 정권을 잡았다. 방데 전쟁 등에서 프랑스의 왕정복고와 프랑스 혁명 타도를 목표로 봉기했다.
프랑스 혁명으로 탄생한 프랑스 공화국 정부와 공화제에 반대하는 오스트리아 · 프로이센 · 영국 · 러시아 · 프랑스 왕당파 등 사이에서 벌어진 전쟁이다.
94 【지역】 서독 (西獨)
1949년에서 1990년 사이, 독일의 재통일이 이루어지기 전의 분단국가인 독일연방공화국(Bundesrepublik Deutschland)을 독일민주공화국(Deutsche Demokratische Republik)에 대해 구분하여 가리키는 비공식 이름이다. 편의상 1990년 10월 3일에 통일 이후의 독일연방공화국은 독일로 사용하고, 이전의 정부는 서독으로 기술한다.
[1806 ~ 1918] 1806년부터 1918년까지 독일 중부에 있던 왕국이다. 영역은 현재의 작센주와 비슷하다. 다만, 1945년부터 오데르-나이세선 동쪽이 독일-폴란드 간 국경선이 되는 바람에, 강 동쪽에 있던 작센의 영토 일부가 폴란드로 넘어간 대신 강 서쪽에 있던 슐레지엔 땅이 작센에 편입되었다.
작센주
신성 로마 제국 최초의 왕조(919~1024). 동프랑크의 카롤링거가의 왕통이 단절된 뒤 프랑켄 공국(公國)의 콘라트 1세의 과도적 통치를 거쳐 919년 작센 공작 리우돌핑이 하인리히 1세로 선출됨으로써 작센 왕조를 열었다.
[1356 ~ 1806] 아스카니아 가문의 작센비텐베르크 공국(Herzogtum Sachsen-Wittenberg)이 1356년 금인 칙서로 신성 로마 제국의 카를 4세로부터 선제후 작위를 부여받아 성립된 국가이다.
베틴
• 2025년 7월 13일
98 【작품】 병정타령 (兵丁打令)
서울 지방 휘몰이잡가. 민족항일기의 경서도(京西道) 명창 박춘재(朴春載)에 의하면 한말에 서울 풀무골(冶洞)의 소리꾼 이현익(李鉉翼)이 지은 곡이라고 한다. 신식군대의 조련(操鍊)과 단발령 선포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박춘재
이현익
서울, 경기 지방에서 불리던 잡가 . 십이 잡가와 휘모리 잡가가 있다.
100 【인물】 왕양명 (王陽明)
[1472 ~ 1528] 중국 명나라 때의 유학자. 이름은 수인(守仁)이고, 양명은 호이다.
101 【지식】 훈고학 (訓詁學)
유교 경전을 정리, 주해하여 문장을 바르게 해석하고 고전 본래의 사상을 이해하려는 학문. 한대 학문의 중심이 되었고 당대에 성하였다.
가규
102 【지식】 행서 (行書)
한자체의 한 가지. 후한 초기의 유승덕(劉升德)에 의해 비롯되었다고 하나 확실하지 않다. 해서와 초서의 중간 정도 되는 서체로 해서의 획을 조금 흘린 것이다.
유승덕
103 【인물】 손과정 (孫過庭)
[648? ~ 703?] 중국 당나라 초기의 서예가. 글씨는 왕희지의 서법을 배워 초서를 잘 썼다.
104 【인물】 이징 (李澄)
[1581~ ?] 조선시대 중기의 화가이다. 자는 자함(子函), 호는 허주(虛舟),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화가 이경윤(李慶胤)의 서자이다. 조선 인조 때 화원(畵員)으로서, 문신직의 6품(品)에 임명되었다.
이경윤
105 【기관/단체】 서화미술회 (書畵美術會)
1911년에 설립되었던 미술교육기관.
강진희
강필주
박승무
오일영
윤영기
이도영
정대유
최우석
106 【인물】 조석진 (趙錫晋)
[1853 ~ 1920] 조선 말기와 일제강점기의 화가로, 호는 소림(小琳), 본관은 함안(咸安), 초명은 태원(台源), 자는 응삼(應三) 황해도 옹진 출신이다.
박승무
오일영
최우석
107 【지식】 서화 협회 (書畵協會)
1918년 탄생한 우리 나라 최초의 근대적미술 단체.
강진희
강필주
윤영기
이도영
정대유
정학수
일제강점기에 개최된 미술 공모전이다. 약칭 선전(鮮展), 조선미전(朝鮮美展)으로도 불렸다.
109 【인물】 허백련 (許百鍊)
[1893 ~ 1977] 동양 화가. 호는 의재(毅齋)이며, 전라 남도 진도에서 태어났다. 그는 남종화(南宗畵)의 대가로서 많은 전시회를 가졌으며, 국민 훈장 무궁화장을 받았다.
110 【인물】 허건 (許楗)
[1907 ~ 1987] 동양 화가. 조선 말기의 이름난 화가인 소치(小痴) 허유의 손자이며 허영을 아버지로 하여 3대째 화맥(畵脈)을 이어 온 그는, 조선 후기에서 근대와 현대에 이르는 남종화(南宗畵) 역사의 산 증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허림
허영
111 【인물】 허형 (許灐)
[1862 ~ 1938] 일제강점기 제2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하경산수」 로 입선한 화가. 본관은 양천(陽川), 본명은 결(潔), 전주 출신이다. 소치(小癡) 허련(許鍊)의 넷째 아들로 가업(家業)인 화가의 길을 걸었다.
허림
112 【인물】 허련 (許鍊)
[1809 ~ 1892] 조선 말기의 선비 화가이다. 본관은 양천(陽川)이고, 자는 마힐(摩詰), 호는 소치(小痴)·노치(老痴)·석치(石痴)이다. 주요작품 : 「선면산수도」 · 「김정희초상」
113 【인물】 한호 (韓濩)
[1543 ~ 1605] 조선 중기의 명필. 호는 석봉(石峯)이다. 우리 나라 서예계에서 김정희와 쌍벽을 이룬다. 그의 필적으로 《석봉서법》 《석봉천자문》 등이 모간(模刊)되었고, 친필은 별로 남은 것이 없으나 그가 쓴 비문(碑文)은 많이 남아 있다.
114 【지식】 첩학파 (帖學派)
중국 청나라때 서예 유파로 법첩(法帖)에 새겨진 두 왕을 비롯해 위 • 진 • 남조인의 서를 전형으로 배우는 파로 진인(晉人)의 기풍을 전하는 미불, 조맹부, 동기창 등의 글씨를 배우는 사람들도 포함하여 일컫는다.
비학파
양동서
115 【인물】 유용 (劉墉)
[1719 ~ 1804] 중국 청나라 때의 서예가. 호는 석암(石庵)이다. 산둥성에서 태어나 33세 때에 진사에 급제하여 태자대보를 지냈으며, 학문과 시에 뛰어났다. 특히 글씨를 잘 썼으며, 첩학파(帖學派 : 중국 서예의 한 파)의 대성자(大成者)로 알려져 있다.
• 2025년 7월 12일
116 【인물】 사을화동 (沙乙火同)
[? ~ 1590] 조선의 인물이자 순왜 중의 한 사람. 기록에 따라 살배동(乷背同), 사화동(沙火同), 살화동(乷火同), 사을포동(沙乙蒲同) 등으로도 표기했다.
117 【작품】 의산문답 (醫山問答)
1766년(조선 영조 42년) 홍대용이 지은 책으로서, 《담헌서(湛軒書)》내집에 보유로 포함되어 있다. 북학파 실학자인 홍대용의 통합과학적 사상을 종합적으로 보여 주었다는 평을 받고 있다.
담헌서
참 여 마 당
◈ 지식지도(우선등재목록)
• 최근추가된지식지도
◈ 참여마당
about 참여마당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4년 7월 1일